공학교육의 발전 및 새롭고 창의적인 접근방법 고취를 목적으로 한국공학교육인증원(Accreditation Board for Engineering Education of Korea: ABEEK)에서 추진하는 인증 프로그램
컴퓨터과학 프로그램은 첨단학문인 컴퓨터학의 발전으로 과거 전통적인 전산 관련 지식 외에 컴퓨터공학에 대한 지식을 부가적으로 갖춘 창의적인 공학도를 양성함을 목표로 합니다. 컴퓨터학관련 교과목으로는 컴퓨터 개론 및 실습과 C언어 및 실습을 기초로 하여 컴퓨터학 전반에 대한 이해와 프로그래밍 마인드를 심어주며 자료구조 및 실습, 마이크로프로세서 설계, 클라우드 컴퓨팅, 데이터베이스설계, 모바일 소프트웨어 설계, 임베디드 시스템 설계 과목 등을 제공하여 궁극적으로는 졸업생들이 산업현장에서 실제적인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하며 컴퓨터학을 기반으로 컴퓨터에 대한 기본적인 이론과 함께 고급 컴퓨터 기술을 학습하여 새로운 고부가가치 기술을 창출해낼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도록 합니다. 본 프로그램을 이수한 학생은 금융계, 일반 산업체를 비롯하여 각종 무선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 컴퓨터 네트워크, 인공지능과 소프트웨어공학 등 급변하는 사회의 기술 발전을 선도하는데 일익을 담당하게 될 인재로 거듭나게 됩니다.
교수소개
교수명 | 전공분야 | 최종학위(출신학교) | 주요강의교과목 |
---|---|---|---|
홍의경 | 데이터베이스 | 박사(한국과학기술원 전산학과) | 데이터베이스 설계 |
안상현 | 컴퓨터네트워크 | 박사(University of Minnesota) | 데이터통신 |
김진석 | 분산컴퓨팅 | 박사(한국과학기술원 전산학과) | 컴퓨터알고리즘 |
이동희 | 운영체제 | 박사(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부) | 운영체제 |
유하진 | 인공지능 | 박사(한국과학기술원 전산학과) | 자료구조 |
김성환 | 무선 멀티미디어 | 박사(한국과학기술원 전자전산학과) | 정보이론 |
이병정 | 소프트웨어공학 | 박사(서울대학교 전기컴퓨터공학부) | 소프트웨어공학 |
최혁 | 정보보호 | 박사(서울대학교 전기컴퓨터공학부) | 컴퓨터보안 |
김민호 | 컴퓨터그래픽스 | 박사(University of Florida) | 컴퓨터 그래픽스 |
황혜수 | 정보검색 | 박사(University of California) | 웹정보시스템 |
대학 및 프로그램의 교육목표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목표 (University Educational Objectives, UEO) | |
---|---|
UEO1 | 폭넓은 일반교양과 심오한 학문적 이론 및 창의적 전문기술을 지닌 지성인을 기른다. |
UEO2 | 성실한 근면을 바탕으로 책임과 의무를 다하는 건전한 인격을 갖춘 민주 시민을 기른다. |
UEO3 | 급변하는 미래 사회에의 적응력과 새 문화 창조력을 함양하여 서울시와 국가 및 인류사회 발전에 공헌할 수 있는 지도자를 기른다. |
공과대학 교육목표 (College Educational Objectives, CEO) | |
---|---|
CEO1 | 독창성이 있고, 응용력이 풍부한 생산적 기술인 |
CEO2 | 협동 봉사하는 마음과 인성을 겸비한 인격적 기술인 |
CEO3 | 세계화 시대에 선도적 기술을 갖춘 미래지향적 기술인 |
컴퓨터과학부 교육목표 (Program Educational Objectives, PEO) | |
---|---|
PEO1 | 이론과 실무능력을 겸비한 창의적인 컴퓨터 전문 인재 양성 |
PEO2 | 공학윤리의식과 원활한 소통능력을 갖춘 리더형 인재 양성 |
PEO3 | 지속적인 자기계발을 통하여 미래 정보화 사회 발전에 공헌하는 글로벌 인재 양성 |
교육목표의 연관성 (● 연관성 강함, ◐ 연관성 보통, ○ 연관성 약함)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목표 |
공과대학 교육목표 |
본 프로그램의 교육목표 | ||
---|---|---|---|---|
PEO1 | PEO2 | PEO3 | ||
UEO1 | CEO1 | ● | ||
UEO2 | CEO2 | ● | ○ | |
UEO3 | CEO3 | ○ | ◐ | ● |
교과목 이수
공학교육 인증 프로그램 이수기준(일반 졸업기준 + 공학교육 인증 기준)
공학교육 인증 프로그램을 이수하고자 하는 학생은 일반 졸업기준과 공학교육인증 기준(학습성과 포함)을 모두 충족하여야 졸업이 가능함 (1개 과목이 일반 졸업기준과 공학교육인증 기준에 모두 해당될 경우 중복 인정)
1) 일반 졸업요건 이상 충족(자세한 사항은 학칙 제69조 및 교과과정 참조)
2) 전문교양과목 : 총 18학점이상
3) 수학, 기초과학, 컴퓨터 교과목(MSC) : 총 30학점이상
4) 전공과목 : 총 60학점이상(설계과목 12학점이상 포함)
(다만 MSC로 지정된 전공 교과목은 공학인증 전공 이수학점으로 인정하지 않음)
5) 학습성과 최소 달성 기준 이상(세부사항은 별도 안내)
공학교육인증 기준에 따른 우리대학 이수기준표
공학인증기준(인증구분) | 우리대학기준(교과구분) | |||
---|---|---|---|---|
계 | 108학점이상 | 130학점 | 졸업최저이수학점 | |
전문교양 | 18학점이상 | 18학점 | 10학점 | 교양필수(영어,국어) |
8학점 | 교양선택(공학소양) | |||
MSC (수학, 기초과학, 컴퓨터) |
30학점이상 * 다만, 컴퓨터과학부는 (전산 : "컴퓨터개론" (3학점)) 이수 |
18학점 | 6학점 | 교양필수(수학) |
12학점 | 교양선택(전공기초) | |||
72학점 | 12학점 |
학부·과 지정 MSC (전공과목) |
||
전공 |
60학점이상 (설계12학점이상) |
60학점 | 전필·전선 |
학습성과 달성
자세한 기준은 부록1(공학교육인증기준 학습성과) 및 해당 학부·과 교과과정 참조
학생포트폴리오 관리
구체적인 작성방법은 [공학교육혁신센터 홈페이지 : 자료실] 참고
지도교수 상담
컴퓨터과학프로그램의 학습성과
컴퓨터과학 심화프로그램의 학습성과 | |
---|---|
PO1 (지식응용) | 수학, 기초과학, 공학의 지식과 정보기술을 공학문제 해결에 응용할 수 있는 능력 |
PO2 (분석실험) | 데이터를 분석하고 주어진 사실이나 가설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는 능력 |
PO3 (설계능력) | 공학문제를 정의하고 공식화할 수 있는 능력 |
PO4 (문제정의) | 공학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신 정보, 연구 결과, 적절한 도구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 |
PO5 (자원활용) | 현실적 제한조건을 고려하여 시스템, 요소, 공정 등을 설계할 수 있는 능력 |
PO6 (협동능력) | 공학문제를 해결하는 프로젝트 팀의 구성원으로서 팀 성과에 기여할 수 있는 능력 |
PO7 (의사전달) | 다양한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의사소통 할 수 있는 능력 |
PO8 (영향이해) | 공학적 해결방안이 보건, 안전, 경제, 환경, 지속가능성 등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 |
PO9 (직업윤리) | 공학인으로서의 직업윤리와 사회적 책임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 |
PO10 (평생학습) | 기술환경 변화에 따른 자기계발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지속적이고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능력 |
교육목표와 학습성과의 연관성 (● 연관성 강함, ◐ 연관성 보통, ○ 연관성 약함)
교육목표 | 학습성과 | |||||||||
---|---|---|---|---|---|---|---|---|---|---|
PO1 | PO2 | PO3 | PO4 | PO5 | PO6 | PO7 | PO8 | PO9 | PO10 | |
I. 이론과 실무능력을 겸비한 창의적인 컴퓨터 전문 인재 양성 |
● | ● | ● | ● | ● | ◐ | ◐ | ○ | ◐ | ○ |
II. 공학윤리의식과 원활한 소통능력을 갖춘 리더형 인재 양성 |
○ | ○ | ○ | ○ | ○ | ● | ● | ○ | ○ | ● |
III. 지속적인 자기계발을 통하여 미래 정보화 사회 발전에 공헌하는 글로벌 인재 양성 |
○ | ○ | ○ | ○ | ○ | ◐ | ◐ | ● | ● | ◐ |